-
롯데쇼핑 오프라인 지점(롯데슈퍼, 롯데백화점, 롯데아울렛, 롯데마트) 폐점 데이터로 확인해보자 With Python,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Data Analysis/Investment 2021. 8. 19. 12:04
유통업의 지각 변동에 따라서 롯데 그룹의 변화도 굉장히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온라인으로 주요 쇼핑이 이루어지면서 아래 뉴스와 같이 롯데쇼핑의 오프라인 지점 구조조정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중이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롯데가 그동안 얼마나 많은 매장을 정리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데이터는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해당 사이트에서 가져오는 것으로 100% 실제 데이터와 맞다고 얘기할 수는 없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13/2020021303292.html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 링크:
우선 연도별 페장한 매장 수가 어떻게 되는지 그래프로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mport pandas as pd import seaborn as sns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matplotlib inline %config InlineBackend.figure_format='retina' df=pd.read_csv('C:/Users/banad/OneDrive/Documents/카카오톡 받은 파일/대규모점포.csv',encoding='euc-kr') df=df[df['사업장명'].str.contains('롯데')] dfp=df[df['영업상태명'].str.contains('폐업')] dfp['Closed Month']=dfp['폐업일자'].apply(lambda x: str(x)[2:4]+'년'+' '+str(x)[4:6]+'월') dfp['year']=dfp['Closed Month'].apply(lambda x:x.split(' ')[0]) counts=pd.DataFrame(tb.groupby(['year']).count()['사업장명']) counts.columns=['폐업 지점 수'] plt.figure(figsize=(20,10)) plt.rcParams["font.family"] = 'Malgun Gothic' plt.rcParams["font.size"] = 15 plt.bar(counts.index, counts['폐업 지점 수']) plt.title('롯데쇼핑 연도별 오프라인 지점 폐점 수',fontsize=25) for x,y in enumerate(list(counts['폐업 지점 수'])): plt.text(x, y, y, fontsize=17, color='#ff0000', horizontalalignment='center', verticalalignment='bottom')
확실히 코로나가 터진 2020년 이후 정리된 매장 수가 많은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가 롯데 구조조정을 더욱 가속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월별 페점된 매방 수를 보겠다.
m_counts=pd.DataFrame(tb.groupby(['Closed Month']).count()['사업장명']) m_counts.columns=['폐업 지점 수'] plt.figure(figsize=(20,10)) plt.rcParams["font.family"] = 'Malgun Gothic' plt.rcParams["font.size"] = 15 plt.plot(m_counts.index, m_counts['폐업 지점 수']) plt.title('롯데쇼핑 월별 오프라인 지점 폐점 수',fontsize=25) for x,y in enumerate(list(m_counts['폐업 지점 수'])): plt.text(x, y, y, fontsize=17, color='#ff0000', horizontalalignment='center', verticalalignment='bottom') plt.xticks(rotation=45) plt.show()
월별로 보면 20년 이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데 자세히 보면 20년 이후부터는 거의 매월 롯데에서는 매장을 정리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롯데쇼핑 내 브랜드별 폐장 지점 수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def lotte(x): if '슈퍼' in x: return '롯데슈퍼' elif '마트' in x: return '롯데마트' elif '면세점' in x: return '롯데면세점' elif '백화점' in x: return '롯데백화점' elif '아울렛' in x: return '롯데아울렛' dfp['지점']=dfp['사업장명'].apply(lambda x: lotte(x)) p_counts=pd.DataFrame(dfp.groupby(['지점']).count()['사업장명']) p_counts.columns=['폐업 지점 수'] p_counts=p_counts.sort_values(by='폐업 지점 수',ascending=False) plt.figure(figsize=(20,10)) plt.rcParams["font.family"] = 'Malgun Gothic' plt.rcParams["font.size"] = 15 plt.bar(p_counts.index, p_counts['폐업 지점 수'],color='green') plt.title('롯데쇼핑 브랜드별 오프라인 지점 폐점 수',fontsize=25) for x,y in enumerate(list(p_counts['폐업 지점 수'])): plt.text(x, y, y, fontsize=17, color='#ff0000', horizontalalignment='center', verticalalignment='bottom')
가장 많이 폐장된 곳은 아래와 같이 롯데슈퍼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롯데쇼핑의 주요 사업 중에 하나였던 롯데마트도 꽤 많은 지점이 폐점이 되었다.
롯데쇼핑이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 롯데슈퍼, 롭스 등 현재 운영 중인 오프라인 매장 700여개 중 실적이 부진한 점포 200여곳의 문을 3~5년내 닫는다고 밝힌만큼 해당 숫자는 앞으로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Data Analysis >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NAVER, 035420) 지난 16년 간 개인투자자 보유 현황 분석 (0) 2021.06.30 2020년 코스피 보통주 시가배당률 Top 10 기업을 알아보자 (0) 2021.06.27 미국 증시 상장된 식음료 ETF 종목 PBJ, FTXG 데이터 파이썬 분석 (0) 2021.06.06 20년 12월 기준 삼성카드(029780) 주주 분포 현황 분석 With Python (0) 2021.06.05 국내 신용카드사 이용 실적 기준 시장 점유율 분석(신한카드, 삼성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우리카드) (0) 2021.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