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지주 주식을 보유한 주주로서 은행 관련된 데이터 분석에 굉장히 많은 편이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은행 관련 데이터를 파이썬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최근 들어 은행 관련해서 개인적으로 궁금한 게 있었다. 금융업계의 디지털 전환이 시작되면서 이제는 핸드폰 하나로 모든 금융 업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많은 분들도 마찬가지로 모바일 앱으로 많은 업무를 처리하고 있을 것이다. 최근에 은행 지점을 방문한 기억이 없을 정도 모바일 앱의 편의성이 좋아졌다. 모바일 앱의 기능이 발전하면서 당연히 오프라인 지점의 필요성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고 보는데 실제로 지난 5년간 국내 주요 은행들의 지점이 감소되었는지 데이터로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데이터 소스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금융통계정보시스템 API를 활용해서 오늘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하겠다. API는 아래 링크에서 받기를 바란다.
http://fisis.fss.or.kr/fss/fsiview/indexw.html
국내 시중 은행 리스트 가져오기
우선 API를 통해서 국내 시중은행 코드를 가져오도록 하겠다. 여기서는 분석 대상이 될 국내 Top 5 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만 필터링하도록 하겠다.
import requests import pandas as pd api='~~' url=f'http://fisis.fss.or.kr/openapi/companySearch.json?auth={api}&partDiv=A&lang=kr' re=requests.get(url) data=re.json() banks=pd.DataFrame(data['result']['list']) banks=banks[banks.finance_nm.str.contains('폐')==False] banks=banks[(banks['finance_nm']=='국민은행') | (banks['finance_nm']=='우리은행') | (banks['finance_nm']=='농협은행주식회사')| (banks['finance_nm']=='신한은행') | (banks['finance_nm']=='하나은행')]
국내 시중은행 지점 수 가져오기
위 쿼리에서 은행 코드를 가져올 수 있으면 은행별 은행 지점 수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하겠다.
data_banks=[] for u,i in zip(banks['finance_cd'],banks['finance_nm']): url3=f'http://fisis.fss.or.kr/openapi/statisticsInfoSearch.json?lang=kr&auth={api}&financeCd={u}&listNo=SA002&accountCd=A11&term=Y&startBaseMm=201612&endBaseMm=202012' off=requests.get(url3).json() data_banks.extend(off['result']['list']) df=pd.DataFrame(data_banks) df=df.sort_values('base_month',ascending=True) df.columns=['Year','Code','Bank','Data','Account','# of banks'] df['# of banks']=df['# of banks'].astype(int) df['Bank']=df['Bank'].str.replace('국민은행','KB') df['Bank']=df['Bank'].str.replace('신한은행','ShinHan') df['Bank']=df['Bank'].str.replace('우리은행','Woori') df['Bank']=df['Bank'].str.replace('하나은행','Hana') df['Bank']=df['Bank'].str.replace('NH주식회사','NH') import plotly.express as px fig = px.line(df, x="Year", y="# of banks", color='Bank',title='Number of Offline Banks in Kore Per Bank') fig.show()
전반적으로 은행 지점 수가 감소하고는 있지만 생각했던 것과 달리 은행 지점 수는 크게 감소하지 않은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이저 은행 중에서 하나은행의 감소폭이 가장 큰 점을 볼 수 있다. 19년 대비 무려 지점 수가 9%가 감소하였다. 오히려 국민은행은 19년 881개에서 20년 882개로 은행 지점수가 하나 더 늘었다. 앞으로 디지털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은행 지점 수 축소는 지속되지 않을까 싶고, 은행 주주로서 봐도 비용이 들어가는 은행 지점은 이제는 줄어드는 게 맞지 않나 싶다.
'Data Analysis >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년 12월 기준 삼성카드(029780) 주주 분포 현황 분석 With Python (0) 2021.06.05 국내 신용카드사 이용 실적 기준 시장 점유율 분석(신한카드, 삼성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우리카드) (0) 2021.06.04 구글트렌드 & 네이버 데이터랩으로 지난 1년간 국내 메이저 카드사 검색량 트렌드 분석 (0) 2021.06.02 국내 상장 시중 은행 18년 ~ 20년 배당 내역 분석 With Python, Open Dart API (0) 2021.05.18 치폴레(Chipotle/CMG) 미국 주가 분석 With FinancialModelingPrep & Python (0) 2021.04.15